<연구실 소개>
나노전기분석화학연구실 (NanoElectroChemistry Laboratory, NECL)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전기화학(electrochemistry)과 첨단 나노소재의 물리 및 화학적 기본성질의 이해를 바탕으로 전극표면에서 일어나는 특성을 규명하고 광범위한 활용성에 대해서 깊이있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전기화학은 물질간의 전자전이/이동(electron transfer)과 이러한 현상을 다루는 화학의 한 분야입니다. 비록 어느 정도 깊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책 한 권이 부족할 수 도 있지만, 여러가지 실험 활동과 응용과정에 필요한 기초 개념의 학습을 토대로 접근함으로서 보다 수월하게 관련 분야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 수행하는 주요 연구내용은 크게 세 가지 분야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첫째, 최근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내용 중에서 기본적이고 원천기술에 부합한 에너지관련 전극촉매 소재(흔히 ‘나노소재‘의 큰 틀에 속함)에 대한 연구입니다. 둘째, 생물학적 중요인자인 혈당, 인슐린, 아미노산, DNA, 펩타이드, NO, CO 등을 고감도로 빠르게 검출가능한 센서를 개발하는 연구입니다. 셋째, 초미세 전극의 개발과 이를 활용한 국부적 영역에서의 검출가능한 센서를 개발하는 것입니다. 구체적으로 관련된 연구내용을 명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나노소재를 이용한 전극촉매반응에 대한 연구
-연료전지 산화극 및 환원극의 촉매소재 개발
-전극반응 매커니즘 규명
-물분해반응에 응용가능한 고활성 촉매개발 연구
2. 생물학적 중요 인자의 효율적인 검출
-소형화된 전기화학적 화학 및 바이오센서의 전극구조체 연구
-생체적합성이 뛰어난 바이오폴리머를 활용한 고감도 바이오센서 개발
-전기화학적 신호검출이 어려운 생물학적 중요 인자의 검출
3. 초소형 전극구조체 개발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지니는 전극 트랜스듀서의 개발
-초소형 전극구조체의 박막 구조층 변화를 유도한 고감도 센서 개발
-인공포어 구조물을 활용한 새로운 개념의 전극신호 감응 특성 연구
<사회수요 및 진출분야>
연구분야에 대한 사회진출 및 수요는 폭넓게 다음과 같습니다.
1. 신재생 에너지 분야인 태양전지, 연료전지, 바이오에너지 등의 분야
2. 이차전지인 리듐이온배터리 등의 미래 신성장 연구기술의 핵심 지식을 기본으로 하는 분야
3. 인공지능과 4차산업혁명시대에 요구되는 전기화학적 센서기술을 접목한 스마트헬스케어 분야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