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과안내
    • 인사말
    • 개요
    • 연혁
    • 교수진
    • 교육과정
    • 교과목이수체계도
    • 취업 및 진로
    • 학과탐방
    • 학과사무실
  • 입학안내
    • 신입학
    • 편입학
    • 기숙사
    • 장학제도
    • 대학원과정
  • 공지및자료실
    • 학과공지
    • 대학공지
    • 학과일정
    • 취업정보
    • 자격증
  • 커뮤니티
    • 포토갤러리
    • 연구실 소개
    • 국제교류활동
    • 단체및기관
  • 학생활동
    • 학생회
    • 동아리
    • 프로그램
    • 동문소식
    • DU피플

화장품바이오학부 화장품제약전공

  • 공지및자료실
  • 자격증
  • 대기관리기술사
  • 수질환경기사
  • 토양환경기사
  • 폐기물처리산업기사
  • 대기환경기사
  • 수질환경산업기사
  • 폐기물처리기사
  • 대기환경산업기사
  • 수질관리기술사
  • 화학분석기사
  • 위험물산업기사
  • 섬유산업기사
  • 화공기사

•대기관리기술사

1. 개요
경제의 고도성장과 산업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오존층과, 온난 화, 산성비 문제 등 대기오염이라는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대기오염으 로부터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을 관리·보전하여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대기 오염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풍부한 경험을 갖춘 전문인력 양성이 요구됨.


2. 수행직무
환경분야의 기술사 자격 중에서 응시자격의 대기관리 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 무경험에 입각한 계획, 연구, 설계, 분석, 시험, 운영, 평가 또는 이에 관한 지도, 감 리 등의 기술업무 수행.

3. 진로 및 전망
정부의 환경공무원, 환경관리공단, 연구소, 학계 및 환경플랜트회사, 환경오염방지 설 계 및 시공회사, 환경시설 전문관리인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현황(1997년 환경부자료)을 보면 자동차가 대기오염물질을 가장 많이 배출하고 이밖에 산업, 발전, 선박 및 기타, 난방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저황유 사용지역 확대, 청정연료 사용지역 확대, 지하생활공간 공기질관리, 시도지사의 대기오염 상시측정 의무화, 대기환경기준강화, 예시 배출 허용기준 적용 , 대기환경 규제지역내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규제 추진, 대기환경규제지역내 자동차 정기검사 강화 등 대기오염에 대한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어서 이에 대한 인력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4. 관련정보
http://www.q-net.or.kr/crf005.do?id=crf00503&jmCd=0920

•수질환경기사

1. 개요

수질오염이란 물의 상태가 사람이 이용하고자 하는 상태에서 벗어난 경우를 말하는데 그 런 현상 중에는 물에 인, 질소와 같은 비료성분이나 유기물, 중금속과 같은 물질이 많 아진 경우 수온이 높아진 경우 등이 있다. 이러한 수질오염은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어 이에 따른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을 관리 보전하여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 도록 수질오염에 관한 전문적인 양성이 시급해짐에 따라 자격제도 제정.

2. 변천과정

’79.01.06.

대통령령 제9278호

’91.10.31.

대통령령 제13494호

’98.05.09.

대통령령 제15794호

현재

환경관리기사1급

(수질환경)

수질환경기사1급

수질환경기사

수질환경기사


3. 수행직무
수질 분야에 측정망을 설치하고 그 지역의 수질오염상태를 측정하여 다각적인 연구와 실 험분석을 통해 수질오염에 대한 대책을 강구함. 수질 오염물질을 제거 또는 감소시키 기 위한 오염방지시설을 설계, 시공, 운영하는 업무 수행.

4. 진로 및 전망
정부의 환경 관련 공무원, 환경관리공단, 한국수자원공사 등 유관기관, 화공, 제약, 도금, 염색, 식품, 건설 등 오·폐수 배출업체, 전문폐수처리업체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환경 투자비용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이중 수질개선부분 즉, 수질관리와 상하수도 보전에 쓰여진 돈은 전체 환경투자비용의 50%를 넘는 등 환경예산의 증가로 인하여 수질관리 및 처리에 있어 인력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5. 관련정보 
http://www.q-net.or.kr/crf005.do?id=crf00503&jmCd=1662

•토양환경기사

1. 개요

토양환경관련법, 관련제도 및 토양환경정화 및 복구분야의 과학 및 공학적 기초이론 지 식 또는 숙련기능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토양 환경 오염정화 및 복구에 대한 복합적인 기술적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인력양성을 목적으로 함

2. 변천과정

2003년

(대통령령 제18116호, 2003.11.04)

2008년

(노동부령 제311호, 2008.11.26)

토양환경기사

토양환경기사

농림토양평가관리기사


3. 수행직무
- 토양 및 지하수를 채취하여 토양오염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시험․분석하고, 중금속 및 기름 등의 오염분포도를 파악
- 화학약품처리나 열처리, 진공처리 등의 토양세척방법, 스팀제거, 미생물정화공법, 동전기정화작업 등의 다양한 토양정화공법을 이용한 정화 계획안을 마련
- 정화기술 및 정화시스템을 설계하고 정화작업을 감독
- 토양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고 토양환경 관련 연구업무를 수행

4. 진로 및 전망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토양환경평가제도를 도입하여 더욱더 전문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데 토양환경기사는 정부기관, 국립환경연구원, 환경정책영향평가연구원 등 정부산 하기관, 토양 및 지하수환경 대행업체, 환경컨설턴트기관, 각종 교육기관 등에 진출할 수 있을 것이다.

5. 관련정보 
http://www.q-net.or.kr/crf005.do?id=crf00503&jmCd=1948

•폐기물처리산업기사

1. 개요
문명사회로부터 배출되는 폐물질을 폐기물이라고 하는데. 이와 같은 폐기물을 적절하게 처리 및 처분하지 않으면 환경을 오염시킴으로써 인간을 포함하는 생태계의 존속을 위 태롭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도 시대적 조류에 부응하여 폐기물 처리에 대 한 전문인의 양성을 위해 자격제도 제정.
 

2. 수행직무
국민의 일상생활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일반폐기물과 산업활동에 부수하여 발생하는 산업 폐기물을 기계적 분리, 증발, 여과, 건조, 파쇄, 압축, 흡수, 흡착, 이온교환, 소각, 소성, 생물학적 산화, 소화, 퇴비화 등의 인위적, 물리적, 기계적 단위조작과 생물 학 적, 화학적 반응조작을 주어 감량화, 무해화, 안전화 등 폐기물을 취급하기 쉽고 위험 성이 작은 성상과 형태로 변화시키는 일련의 처리업무 담당.

3. 관련정보
http://www.q-net.or.kr/crf005.do?id=crf00505&jmCd=2950

•대기환경기사

1. 개요

경제의 고도성장과 산업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오존층과, 온난 화, 산성비 문제 등 대기오염이라는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대기오염으 로부터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을 관리·보전하여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대 기 환경 분야에 전문기술인 양성이 시급해짐에 따라 자격제도 제정. 

2. 변천과정
1979년 환경관리기사1급(대기)로 신설되어 1991년 대기환경기사1급으로 1999년 3월 대기 환경기사로 개정됨.

3. 직무수행
대기 분야에 측정망을 설치하고 그 지역의 대기오염상태를 측정하여 다각적인 연구와 실험분석을 통해 대기오염에 대한 대책을 강구함. 대기 오염물질을 제거 또는 감소시 키기 위한 오염방지시설을 설계, 시공, 운영하는 업무 수행.

4. 진로 및 전망
정부의 환경공무원, 환경관리공단, 연구소, 학계 및 환경플랜트회사, 환경오염방지 설계 및 시공회사, 환경시설 전문관리인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현황(1997년 환경부자료)을 보면 자동차가 대기오염물질을 가장 많이 배출하고 이밖에 산업, 발전, 선박 및 기타, 난방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저황유 사용지역 확대, 청정연료 사용지역 확대, 지하생활공간 공기질관리, 시도지사의 대기오염 상시측정 의무화, 대기환경기준강화, 예시 배출 허용기준 적 용, 대기환경 규제지역내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규제 추진, 대기환경 규제지역내 자 동차 정기검사 강화 등 대기오염에 대한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어서 이에 대한 인력수 요가 증가할 것이다.

5. 관련정보
http://q-net.or.kr/crf005.do?id=crf00503&jmCd=1661

•수질환경산업기사

1. 개요

수질오염이란 물의 상태가 사람이 이용하고자 하는 상태에서 벗어난 경우를 말하는데 그 런 현상 중에는 물에 인, 질소와 같은 비료성분이나 유기물, 중금속과 같은 물질이 많 아진 경우 수온이 높아진 경우 등이 있다. 이러한 수질오염은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어 이에 따른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을 관리 보전하여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 도록 수질오염에 관한 전문적인 양성이 시급해짐에 따라 자격제도 제정.

2. 변천과정

’79.01.06.

대통령령 제9278호

’91.10.31.

대통령령 제13494호

’98.05.09.

대통령령 제15794호

현재

환경관리기사2급

(수질환경)

수질환경기사2급

수질환경산업기사

수질환경산업기사


3. 수행직무
수질 분야에 측정망을 설치하고 그 지역의 수질오염상태를 측정하여 다각적인 연구와 실 험분석을 통해 수질오염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고 수질 오염물질을 제거 또는 감소시키 기 위한 오염방지시설을 설계, 시공, 운영하는 업무 수행.

4. 진로 및 전망
정부의 환경 관련 공무원, 환경관리공단, 한국수자원공사 등 유관기관, 화공, 제약, 도금, 염색, 식품, 건설 등 오·폐수 배출업체, 전문폐수처리업체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 「수질환경보존법(법23조)」사업자는 배출시설과 방지시설의 정상적인 운영·관리를 위하여 환경관리인을 임명할 것을 명시하고 있어 취업에 유리하며 우리나라의 환경 투자비용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이중 수질개선부분 즉 수질관리와 상하수도 보전 에 쓰여진 돈은 전체 환경투자비용의 50%를 넘는 등 환경예산의 증가로 인하여 수질 관리 및 처리에 있어 인력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5. 관련정보
http://www.q-net.or.kr/crf005.do?id=crf00503&jmCd=2572

•폐기물처리기사

1. 개요

문명사회로부터 배출되는 폐기물을 적절하게 처리 및 처분하지 않으면 환경을 오염시킴 으로써 인간을 포함하는 생태계의 존속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도 시대적 조류에 부응하여 폐기물처리에 대한 전문인의 양성을 위해 자격제도 제정.


2. 변천과정

’91.10.31.대통령령 제13494호

’98.05.09. 대통령령 제15794호

현재

폐기물처리기사1급

폐기물처리기사

폐기물처리기사


3. 수행직무

국민의 일상생활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일반폐기물과 산업활동에 부수하여 발생하는 산업 폐기물을 기계적 분리, 증발, 여과, 건조, 파쇄, 압축, 흡수, 흡착, 이온교환, 소각, 소성, 생물학적 산화, 소화, 퇴비화 등의 인위적, 물리적, 기계적 단위조작과 생물 학적, 화학적 반응조작을 주어 감량화, 무해화, 안전화 등 폐기물을 취급하기 쉽고 위험성이 작은 성상과 형태로 변화시키는 일련의 처리업무 담당.


4. 진로 및 전망

정부의 환경공무원 폐기물처리업체 등으로 진출 할 수 있다. -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우리나라의 생활폐기물과 사업장폐기물의 배출량은 계속증가 하고 있으나 처리현황에 있어서 매립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이밖에 소각, 재활용, 보관, 기타(파쇄, 중화 등)의 방법으로 처리하고 있어 이를 관리 및 처리하는 인력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5. 관련정보 

http://www.q-net.or.kr/crf005.do?id=crf00503&jmCd=1950

•대기환경산업기사

1. 개요

경제의 고도성장과 산업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오존층과, 온난 화, 산성비 문제 등 대기오염이라는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대기오염으 로부터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을 관리·보전하여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대 기 환경 분야에 전문기술인 양성이 시급해짐.

2. 변천과정

’79.01.06.

대통령령 제9278호

’91.10.31.

대통령령 제13494호

’98.05.09.

대통령령 제15794호

현재

환경관리기사2급(대기)

대기환경기사2급

대기환경산업기사

대기환경산업기사


3. 수행직무
대기 분야에 측정망을 설치하고 그 지역의 대기오염상태를 측정하여 다각적인 연구와 실험분석을 통해 대기오염에 대한 대책을 강구함. 대기 오염물질을 제거 또는 감소 시키기 위한 오염방지시설을 설계, 시공, 운영하는 업무 수행.

4. 진로 및 전망
정부의 환경공무원, 환경관리공단, 환경플랜트회사, 환경오염방지 설계 및 시공회사, 환경시설 전문관리인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현황(1997년 환경부자료)을 보면 자동차가 대기오염물질을 가장 많이 배출하고 이밖에 산업, 발전, 선박 및 기타, 난방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저황유 사용지역 확대, 청정연료 사용지역 확대, 지하생활공간 공기질관리, 시도지사의 대기오염 상시측정 의무화, 대기환경기준강화, 예시 배출 허용기준 적용 , 대기환경 규제지역내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규제 추진, 대기환경규제 지역내 자동 차 정기검사 강화 등 대기오염에 대한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어서 이에 대한 인력수요 가 증가할 것이다.

5. 관련정보 
https://www.q-net.or.kr/crf005.do?id=crf00505&jmCd=2571 

•수질관리기술사

1. 개요
수질오염이란 물의 상태가 사람이 이용하고자 하는 상태에서 벗어난 경우를 말하는데 그 런 현상 중에는 물에 인, 질소와 같은 비료성분이나 유기물, 중금속과 같은 물질이 많 아진 경우 수온이 높아진 경우 등이 있다. 이러한 수질오염은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어 이에 따른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을 관리 보전하여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 도록 수질오염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풍부한 경험을 갖춘 전문인력 양성이 요구됨에 따라 자격제도 제정.

2. 변천과정
1979년 국토개발기술사(수질관리)로 신설되어 1983년 환경관리기술사(수질관리)로 1991 년 수질관리기술사로 개정.

3. 수행직무
환경분야의 기술사 자격 중에서 응시자격의 해당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 경 험에 입각한 계획, 연구, 설계, 분석, 시험, 운영, 평가 또는 이에 관한 지도, 감리 등 의 기술업무 수행.

4. 진로 및 전망
정부의 환경 관련 공무원, 환경관리공단, 한국수자원공사 등 유관기관, 화공, 제약, 도금, 염색, 식품, 건설 등 오·폐수 배출업체, 전문폐수처리업체, 연구소 및 학계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 「수질환경보존법(법23조)」사업자는 배출시설과 방지시설의 정상적인 운영·관리를 위하여 환경관리인을 임명할 것을 명시하고 있어 취업에 유리하다. 또한 우리나라의 환경 투자비용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이중 수질개선부분 즉, 수질관리와 상하수도 보전에 쓰여진 돈은 전체 환경투자비용의 50%를 넘으며, 이 밖에 환경기술의 연구· 개발에 많은 관심으로 이에 대한 인력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5. 관련정보
http://www.q-net.or.kr/crf005.do?id=crf00503&jmCd=0930

•화학분석기사

1. 개요
분석화학 및 기기분석분야의 제반 환경의 발전을 위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갖춰 인재를 양성 하고자 자격제도 제정
 
2. 변천과정

’05.11.11 노동부령 제239호 화학분석기사 신설

3. 수행직무
화학관련 산업제품이나 의약품, 식품, 소재등의 개발, 제조, 검사를 함에 있어 제품의 품질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키기 위해 원재료나 제품등의 화학성분의 조성과 함량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계획수립, 분석항목을 측정하고 자료를 분석, 종합 평가하여 결과의 보고 및 자료의 종합관리와 새로운 분석기법을 조사 개발하는 직무를 수행

4. 진로 및 전망
모든 관련업체에 취업이 가능하며 정부투자기관에도 활용범위가 넓다.

5. 관련정보
http://www.q-net.or.kr/crf005.do?id=crf00503&jmCd=1563


•위험물산업기사

1. 개요

위험물을 발화성, 인화성, 가연성, 폭발성 때문에 사소한 부주의에도 커다란 재해를 가 져올 수 있다. 또한 위험물의 용도가 다양해지고, 제조시설도 대규모화되면서 생활공 간과 가까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짐에 따라 위험물의 취급과 관리에 대한 안전성을 높 이고자 자격제도 제정

2. 변천과정

’74.10.16. 대통령령 제7283호

’98.05.09. 대통령령 15794호

’05.05.07. 노동부령 제223호

현재

위험물취급기능사1급

위험물관리산업기사

위험물산업기사

위험물산업기사


3. 수행직무
소방법시행령에 규정된 위험물의 저장, 제조, 취급조에서 위험물을 안전하도록 취급하 고 일반작업자를 지시·감독하며, 각 설비 및 시설에 대한 안전점검 실시, 재해발생시 응급조치 실시 등 위험물에 대한 보안, 감독 업무 수행

4. 진로 및 전망
위험물(제1류~6류)의 제조, 저장, 취급전문업체에 종사하거나 도료제조, 고무제조, 금 속제련, 유기합성물제조, 염료제조, 화장품제조, 인쇄잉크제조업체 및 지정수량 이상 의위험물 취급업체에 종사할 수 있다. - 산업체에서 사용하는 발화성, 인화성 물품을 위험물이라 하는데 산업의 고도성장에 따라 위험물의 수요와 종류가 많아지고 있어 위험성 역시 대형화되어가고 있다. 이 에 따라 위험물을 안전하게 취급·관리하는 전문가의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전망된 다. 또한 위험물관리산업기사의 경우 소방법으로 정한 위험물 제1류~제6류에 속하 는 모든 위험물을 관리할 수 있으므로 취업영역이 넓은 편임.

5. 관련정보 
http://www.q-net.or.kr/crf005.do?id=crf00505&jmCd=2121

•섬유산업기사

1. 개요

섬유산업의 국제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염색가공기술의 향상이 필수적이다.
이 에 따라 섬유에 관한 지식, 염색원료에 대한 화학적 지식을 갖춘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자격제도 제정.

2. 변천과정

’74.10.16.

대통령령

제7283호

’83.12.20.

대통령령제

11281호

’91.10.31.

대통령령

제13494호

95.10.16.

대통령령

제14783호

’98.05.09.

대통령령 15794호

’05.05.07.

노동부령

제223호

’10.12.13

고용

노동부령

제11호

현재

섬유기사

2급

방직,염색가공,

인조섬유

중 택 1

방직,방사,

인조섬유

중 택 1

방직,방사,

인조섬유

중 택 1

섬유기계

산업기사

 

섬유물리

산업기사,

 

섬유화학

산업기사

 

중 택 1

섬유

산업

기사

섬유

산업

기사

섬유기사2급

(방직)

방직기사2급

방직기사2급

섬유기사1급

(인조섬유)

방사기사2급

방사기사2급

섬유기사1급

(염색가공)

염색가공

기사2급

염색가공

기사2급

 

섬유기계

기능사1급

섬유기계

산업기사


3. 수행직무
ㅇ 각종 섬유재료의 특성을 파악하고 방적, 제직, 정련표백, 염색 및 가공 등에 관한 직무수행
ㅇ 방적원료를 시험하고 물성을 분석할 수 있다
ㅇ 방적기 운용과 공정별 제 생산에 대하여 산출할 수 있다
ㅇ 제직기 운용과 공정별 제 생산 산출 및 직물분해설계를 할 수 있다
ㅇ 편성기 운용과 편성설계를 할 수 있다
ㅇ 주어진 염료로 직·편물에 칼라매칭 작업과 염색을 할 수 있다
ㅇ 직·편물을 여러 가공 방법으로 가공 할 수 있다

4. 진로 및 전망
ㅇ 방적 및 제직 관련업체 및 연구소로 진출할 수 있다.
ㅇ 섬유제품에 대한 수요변화와 과당경쟁에 의한 수출단가의 하락 저가 직물 위주의 수입이 큰 폭으로 증가 및 수출 감소 등의 불리한 요인이 있으나 신제품 개발, 염색 가공기술 향상, 디자인의 실용화, 적극적인 섬유제품 마케팅 등으로 전환시킨다면 자격 취득자에 대한 인력수요는 무난할 전망이다

5. 관련정보 
http://www.q-net.or.kr/crf005.do?id=crf00503&jmCd=2277

•화공기사

1. 수행직무
화학공정 전반에 걸친 계측, 제어, 관리, 감독업무와 화학장치의 분리기, 여과기 정제 반응기, 유화기, 분쇄 및 혼합기 등을 제어, 조작, 관리, 감독하는 업무를 수행

2. 변천과정

1974년

(대통령령 제7283호, 1974.10.16)

1998년

(대통령령 제15794호, 1998.5.9)

2004년

(노동부령 제217호, 2004.12.31)

공업화학기사1급

공업화학기사

화공기사

화공기사1급

화공기사


3. 수행직무
화학공정 전반에 걸친 계측, 제어, 관리, 감독업무와 화학장치의 분리기, 여과기 정제 반응기, 유화기, 분쇄 및 혼합기 등을 제어, 조작, 관리, 감독하는 업무를 수행

4. 진로 및 전망
정부투자기관을 비롯해 석유화학, 플라스틱공업화학, 가스관련업체, 고무, 식품공업 등 화학제품을 제조·취급하는 분야로 진출가능하고 관련 연구소에서 화학분석을 포 함한 기술개발 및 연구업무를 담당할 수 있다. 또는 품질검사전문기관에서 종사하기도 한다. - 화공분야는 기초산업에서부터 첨단 정밀화학분야, 환경시설 및 화학분석분야, 가스제 조분야, 건설업분야에 이르기까지 응용의 범위가 대단히 넓고 특히「건설산업기본 법」에 의하면 산업 설비 공사업면허의 인력보유요건으로 자격증 취득자를 선임토록 되어 있어 자격증 취득시 취업이 유리한 편임

5. 관련정보
http://www.q-net.or.kr/crf005.do?id=crf00503&jmCd=1110&gSite=Q&gId=

  • 대구대학교
  • 로그인
  • PC버전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로 201 대구대학교 과학생명융합대학 화학·응용화학과 38453
대구대학교 화장품바이오학부 화장품제약전공
Tel. 053)850-6440    Fax. 053)850-6469 copyright(c) Daegu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